EXHIBITION
그곳의 틈: The Things Leftover
Lee yun-bin solo exhibition
CV
개인전
2022 수집되고 기록되는. 갤러리 반디트라소_서울
2020 공간. 갤러리 반디트라소_서울
2019 그 때 그 자리에 선. 갤러리탐 이태원 탐앤탐스 블랙_서울
2018 공간인식:보다. 서진아트스페이스_서울
단체전
2022 작은미술관 해파랑길 프로젝트 동해와 포구와 예술의 만남, 장생포고래로131 작은미술관, 경남 울산
2022 서귀포시 공립미술관 공동기획전 교감의 형태_공간x교감, 이중섭미술관, 제주
2022 제6회 뉴드로잉 프로젝트, 양주시립장욱진미술관, 경기 양주
2022 장생포고래로131 입주작가 프리뷰 지금, 여기, 장생포고래로 131 갤러리, 울산
2022 갤러리 반디트라소x키다리 갤러리 교류전_동행, 갤러리 반디트라소, 서울
2021 이중섭미술관 창작스튜디오 입주작가 결과보고전, 이중섭미술관 창작스튜디오 전시실, 제주
2021 동그란 네모와 세모난 동그라미_이윤빈,장연지 2인전, 공간 풀무질, 서울
2021 3인 공모전_이윤빈, 이준희, 황초롱, GS건설 갤러리 시선, 서울
2021 누구나 자신만의 정원을 품고 있다, PATRON, 온라인 전시
2021 작가미술장터 샛보름미술시장_끝날 떄 까지 끝나지 않은 전시, 제주도립미술관 시민청갤러리, 제주
2021 작가미술장터 샛보름미술시장_삼다도는 그림도, 돌문화공원 오백장군 갤러리 제주
2021 내일의 작가전. 겸재정선미술관, 서울
2021 서울시 신진미술인 지원사업_모두에게 멋진 날들, 서울시청, 서울
2021 영은지기 기억을 잇다. 영은미술관. 경기 광주
2020 을지아트페어, 을지트윈타워, 서울
2019 메시지, 아츠스테이 문래, 서울
2019 YnY Project artist project 4기 3rd. 영은미술관_경기 광주
2019 제4회 뉴드로잉프로젝트. 양주시립장욱진미술관_경기 양주
2019 COSO청년작가 공모전, 갤러리 코소, 서울
2018 Young Creative Korea 2018, 아라아트센터_서울
2018 한성백제미술제, 송파구청 예송미술관_서울
2016 그 점을 따라가시오, 송파구청 예송미술관_서울
2016 Mayfly, space M_서울
2015 광복 70주년기념 특별기획전 201_5감도 대학미술페스티벌, 세종문화회관_서울
2015 미리보기:미립오기, 57th gallery_서울
_레지던시
2022. 03. 06. - 2022. 12. 31. 울산 남구창작소 장생포고래로 131 창작스튜디오 7기. 경남 울산
2021. 02. 01. – 2022. 01. 20. 이중섭미술관 창작스튜디오 12기. 제주 서귀포
2020. 02. 17. – 2020. 12. 31. 인카네이션 창작스튜디오 2기. 강원도 고성
_선정
2022 <제6회 뉴드로잉프로젝트>, 양주시립장욱진미술관, 경기 양주
2021 <내일의 작가>, 겸재정선미술관, 서울
2019 <제4회 뉴드로잉프로젝트>, 양주시립장욱진미술관, 경기 양주
2019 <영은미술관 YnY 프로젝트>, 영은미술관, 경기 광주
2019 <드로잉센터 아카이빙 작가 14기>, 소마미술관, 서울
_수상
2021 <내일의 작가> 선정, 겸재정선미술관, 서울

이윤빈《그곳의 틈: The Things Leftover》
이윤빈 작가는 현재를 살아가면서 ‘나’라는 존재를 주체로 주변 환경을 인식하고 경험하는 것에 흥미로움을 느낀다. 본인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에 관심이 많은 작가의 작업 활동과 작업물은 자연스럽게 모두 공간으로 이어진다. 각자 다른 인지 과정으로 자신이 해석한 장소와 공간들은 시간이 지나면서 기억 속에서 변형되어 현재의 삶에 개입하고 개인의 사유에 영향을 주기 마련이다. 작가는 이러한 주제를 바탕으로 회화의 영역에서 작업 활동을 하고 있다.
작가는 동양화 재료의 물성을 이용하여 한지와 먹, 물감과 테이프를 사용한다. 생지(生紙)에 테이프로 부착하여 구획한 라인(Line)은 작가의 주관적 시선을 반영한 공간으로 안과 밖, 위와 아래를 구분하지만 동시에 작가는 공간의 객관성도 잃지 않으려 한다. 작가는 단순히 공간을 구획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테이프 밑으로 스며드는 먹과 색채를 통해 우리의 주관적 경험을 보여주고자 한다. 특히 동양화 기법의 ‘배채(背彩)’를 통해 한 폭의 작품 안에 개인적 사유의 공간을 만들어내고자 하는데 이는 작가가 작품을 통해 우리에게 전달하려는 공간에 대한 이야기이다. 하나의 공간이란 실체로 존재하나 인식하고 인지하는 과정에서 각 개인의 기억과 경험들로 해석되는 점이다.
작가는 작품의 대상인 공간을 바라볼 때 일정한 거리를 두고 관찰하는 관찰자의 시점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관찰이 끝난 작가는 한 화면에 콘크리트화된 공간과 자신이 바라본 공간을 구현한다. 작가의 이러한 실험은 오래전부터 이어져왔는데 우리는 그 틈을 작가의 작품을 통해 살펴볼 수 있다. 캔버스의 모양을 변형하여 공간 속에 자신의 공간으로 밀어 넣는 등의 작가적 실험은 이번 전시 ’그곳의 틈: The things leftover’에서도 이어진다. 이번 전시에서 선보이는 신작 ‘검은 점’시리즈 역시 작가가 공간을 바라보는 방식의 일환으로, 존재하지만 어떠한 것이라고 정의할 수 없는 그 틈을 보여준다. 작가는 화폭에 관찰자의 시점으로 바라본 공간을 재현하고 작은 사각형을 통해 특정성이 사라진 공간을 표현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검은 점’을 통해 우리에게 목적성이 상실된 공간에 대한 물음을 던진다. 아마 작가는 흘러가는 풍경 속에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공간에 대한 불편함과 공간의 본질에 대한 이야기를 우리와 본인에게 계속해서 질문하고 있는 것인지 모른다. 중첩된 많은 공간성은 작품에서 비워진 공간 또는 검은 점으로 표현된다. 이러한 작가의 표현은 작가의 시점으로 바라본 다양한 공간들의 의미를 찾게 하고 나아가 그 안에 있는 우리와의 교차점을 시사한다.
1) 배채(背彩)기법은 한지의 뒷면에 먹을 칠하고, 먹이 마르기 전에 일정한 압력을 가해서 눌러 앞면에 먹이 스며들게 하는 일종의 동양화 기법의 한 형태이다.